환경부(장관 김완섭)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경북 지역 산불 피해에 따른 야생멧돼지 서식지 변화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봄철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 긴급 대책’을 긴급 추진한다고 밝혔다.
▲ ASF 지역 신규 발생지역 확산 상황도
이번 대책은 최근 의성, 청송 등 경북 일대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인해 야생멧돼지의 이동 및 폐사 가능성이 커지며 ASF 확산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봄철은 멧돼지 출산기로 개체 수가 급증하고, 본격적인 영농철과 맞물리면서 바이러스 전파 위험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ASF 확산 저지선을 중심으로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경북 구미·김천시, 칠곡·청도군과 충북 옥천·영동지역에 열화상 무인기 10대와 GPS 부착 포획트랩 1,500개를 전략적으로 재배치하고, 5곳에 먹이터를 조성해 야생멧돼지를 집중 포획한다.
또한,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는 특수 훈련을 받은 탐지견 12마리를 투입해 폐사체를 신속하게 탐지·제거하고, ASF 오염원 확산을 막을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난 3월 29일부터 3일간 경북 일대 차단 울타리를 긴급 점검했으며, 화재로 인한 훼손 여부에 대한 정밀 점검 및 보수 작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영농철을 맞아 양돈 농가 주변 농경지의 토양과 물 등을 채취·분석해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사전 점검하고, 수렵인, 엽견, 총기, 사체보관창고 등 감염 매개체에 대한 집중 감시와 공동 역학조사를 강화한다.
아울러 ASF 양성 멧돼지 매몰지는 기온 상승으로 인한 침출수 유출 및 지반 붕괴 여부를 면밀히 점검해 오염물 확산을 차단한다.
부정한 방식으로 포상금을 중복 수령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 ‘야생멧돼지 ASF 표준행동지침(SOP)’도 개정된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 혈연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부정행위자를 적발하고, 공공재정환수법에 따라 포상금 환수 및 제재 조치를 강화한다.
한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은 2019년 10월 경기도 연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경기, 강원, 경북 등 6개 시도 43개 시군으로 확산됐으며, 2024년 6월 군위군을 마지막으로 정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산불과 영농철이라는 이중 변수로 ASF 전파 위험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과학적 기법과 맞춤형 전략을 통해 ASF 확산 차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야생멧돼지 생태 변화가 농장 방역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현장 소독과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환경부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ASF 차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