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주요행사

봄철 도시락·급식 식중독, 해썹 관리로 예방

HACCP 수칙 식중독 걱정 없는 안전 급식

등록일 2025년04월05일 11시52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봄철 대량 조리되는 도시락이나 운반급식 등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과 함께 ‘즉석섭취식품의 올바른 HACCP 관리 방안’을 마련해 해썹(HACCP) 적용 식품제조업체에 제공한다고 밝혔다.

 

 


▲식중독 예방을 위한 해썹관리

 

 

봄철에는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학교 및 기관에서 대량 급식이 증가하면서, 식중독 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는 시기다. 특히 도시락이나 운반급식처럼 조리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섭취하는 음식은 제조와 유통 과정에서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식약처는 제조단계부터 식중독균의 오염과 증식을 방지하고, 배송 및 배식까지의 전 과정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했다.

 

우선, 냉동식품은 반드시 안전하게 해동한 후 가열 조리해야 한다. 함박스테이크나 햄버거 패티처럼 육류·어류로 만든 냉동식품은 해동 없이 조리할 경우 표면만 익고 내부는 덜 익어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식품은 10℃ 이하의 냉장 환경이나 21℃ 이하의 흐르는 물에서 중심부 온도가 5℃ 이하가 되도록 충분히 해동해야 한다.

 

조리 시에는 식품의 중심부 온도가 최소 75℃ 이상, 어패류는 85℃ 이상에서 1분 이상 유지되도록 해야 하며, 가열 후에도 온도가 부족할 경우 반드시 재가열해 적정 온도까지 조리해야 한다.

 

가열된 음식은 식중독균 증식을 막기 위해 신속하게 냉각해야 한다. 위험온도대(5~60℃)를 가능한 한 빨리 통과해야 하며, 60℃에서 21℃까지는 2시간 이내, 21℃에서 5℃까지도 2시간 이내로 냉각을 완료해야 한다. 이 과정은 총 4시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냉각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차가운 음식은 5℃ 이하, 따뜻한 음식은 60℃ 이상의 온도로 위생적으로 보관해야 한다. 이 때, 음식은 여러 용기에 나눠 덮개를 덮고 보관하는 것이 좋다.

 

조리가 완료된 식품은 냉장식품과 온장식품으로 구분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하며 신속히 배송해야 하며, 소비자에게는 조리 후 최대 2시간 이내에 섭취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소비자 또한 위생수칙을 지켜야 한다. 공용 집게를 사용할 때 손이나 옷소매가 음식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급적 안내된 시간 내에 섭취해야 한다. 불가피하게 음식을 포장해 이동하는 경우에는 보온·보냉백을 사용하고, 섭취 전에는 75℃ 이상으로 충분히 재가열해야 한다. 우유나 주스처럼 디저트로 제공되는 제품은 상온에 오래 두면 쉽게 변질되므로, 보관 방법을 잘 지켜야 한다.

 

식약처는 이번 지침이 HACCP 적용업체들의 위생 관리 수준을 높이고,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품목별 가이드라인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 안전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