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주요행사

아시아 11개국 식품성분 DB 구축

AFACI 회원국 영양 정보 한눈에

등록일 2025년02월07일 10시37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농촌진흥청은 한-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AFACI) 회원국에서 소비하는 주요 식품의 영양성분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2023년 12월부터 농식품 올바로(koreanfood.rda.go.kr) 누리집을 통해 공개됐다.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는 농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식품의 에너지 및 영양성분을 분석한 자료로, ‘식품성분표’, ‘식품영양가표’, ‘식품분석표’ 등의 명칭으로도 불린다. 이번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는 총 923개의 식품이 20개 식품군으로 분류돼 있으며, 총 16개 항목, 12,484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농진청은 AFACI 회원국 주요식품 DB를 구축했다.

 

주요 영양성분으로는 수분, 단백질, 지방, 회분, 탄수화물, 칼슘, 칼륨, 인, 나트륨, 철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B1, B2, C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식품의 에너지 함량과 폐기율 정보도 수록됐다. 또한, 각 식품의 명칭, 학명, 품종, 정보 생산 국가 등의 정보를 영문과 자국어로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농촌진흥청은 2021년부터 3년간 한-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AFACI) 회원국과 협력해, 반세기 동안 축적한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기술을 공유해왔다. 이 과정에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식품성분 정보 발간 지침에 따라 11개 회원국의 데이터베이스를 표준화하고 이를 통합해 아시아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해당 회원국에는 방글라데시, 부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키르기스스탄, 몽골, 네팔, 필리핀,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특히 부탄, 몽골, 키르기스스탄 3개국은 자국의 식품성분 분석 정보를 처음으로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아시아 국가들은 아시아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및 구축함으로써 고유의 식문화와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향후 2027년까지 3년간 AFACI 회원국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분석 대상 식품을 확대하고 영양 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회원국의 전통음식 정보도 함께 구축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유니세프(UNICEF),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 농촌진흥청이 ‘국가표준식품성분표’를 발간해 왔다. 이 식품성분표는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주요 농식품의 영양 성분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로, 국민의 건강 증진과 식품 연구·개발에 기여해왔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갱신·공개되면서 최신 식품 영양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식품 연구와 영양 정책 수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아시아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에 대해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 유선미 과장은 “아시아 각국의 식품성분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통합함으로써 국가별 농식품 소비 경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해 변화하는 농업환경과 영양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 생산량과 식품의 영양 구성이 변동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식품 안전 및 영양 정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이경태 과장은 “이번 한-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AFACI) 사업을 통해 아시아 지역의 영양 개선을 위한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향후 회원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분석 대상 식품과 전통음식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아시아 각국의 고유한 식문화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보다 정확한 영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과 식품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